마법사 kjs의 활동기록지
search
대마법사kjs
Arduino에 관련된 글과 게임 공략에 관한 내용이 담깁니다.
Today
Yesterday
분류 전체보기 (16)
안녕하세요. 오늘은 아두이노 조도센서를 이용하여 LED를 ON/OFF 제어를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소스코드는 맨 아래에서 다운로드를 하실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오늘 사용할 조도센서는, 빛의 밝기에 따라 조도센서의 저항값이 바뀌는 수치를 아날로그 신호로 받아 그 수치가 일정량 이상일 경우 ON or OFF를 하도록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오늘의 준비물입니다. [오늘의 저항 색깔은 빨빨갈, 갈검빨 입니다.] LED는 DigitalWrite 신호로 ON/OFF를 할 것이고, 조도센서는 A0 아날로그 신호로 받을 예정입니다. [차근차근 한 단계씩 진행하기.] 우선 조도센서 값이 얼마나 출력이 되고 있는지를 우리는 알아야 합니다. 조도센서가 불이 어둡다, 밝다를 구분해주기 때문에! 우선 센서 값을 눈으로 보도록 ..
LED ON/OFF...도 해봤고.. 스위치로 키고 끄는것도 해봤고... 스위치를 키면 계속 켜져있게도 해봤고... 이제 뭐하지...? 댓글에 달아주시면 있는 부품으로 해보겠습니다... 많은 의견 부탁드립니다.
오늘 배울 내용 스위치 2개를 이용하여 LED를 ON/OFF 할 수 있다. 변수값을 저장하고, 그 변수값에 의해 Action을 취할 수 있다. 준비물 : 220옴 : 빨강 빨강 갈색 10K옴 : 갈색 검정 주황 코드 개요 스위치 1을 누를 시 LED가 점등상태가 된다. 스위치 2를 누를 시 LED가 소등상태가 된다. void setup() { pinMode(7, INPUT);// 스위치는 입력신호! pinMode(8, INPUT);// 스위치는 입력신호! pinMode(2, OUTPUT);// 램프는 출력신호! } void loop() { if (1번 스위치가 켜지면?) { digitalWrite(2, HIGH); } if (2번 스위치가 켜지면?) { digitalWrite(2, LOW); } 개인마다..
이전 시간에서 언급했던 플로팅 현상에 대해서, 다른 방법으로 파훼하는 방법을 진행해보도록 합니다. 오늘의 준비물 : 이번 시간에는 아두이노의 내부 풀업 저항을 사용하여 이전 시간보다 더욱 간단한 회로도를 구성해보도록 합니다.소스코드는 아래와 같습니다.void setup() { pinMode(3, INPUT_PULLUP); // 3번 핀은 스위치와 연결됩니다. 내부 풀업저항을 사용합니다. pinMode(4, OUTPUT); // 4번핀은 LED와 연결되어있습니다.}void loop() { int Switch = digitalRead(3); // digitalRead로 읽은 3번핀의 정보를 1과 0으로만 표현하도록 합니다. if (Switch = HIGH) { // ..
오늘의 준비물 이 시간에 알게 될 내용 아두이노 LED를 PushButton으로 ON, OFF 제어할 수 있다. 아두이노 코딩을 할 수 있다. 이번 시간에는, 02. 아두이노 LED를 연결해보자. 의 내용을 이어서 진행됩니다. 푸시버튼 스위치를 이용한 LED ON/OFF 제어를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소스코드 파일은 맨 아래에 있습니다. 첫 번째 단계. Arduino에서 코드 작성. 아두이노 UNO 보드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동작 코드가 필요합니다. 코드 설명을 포함해두었으니, 참고하시면 되겠습니다. 기본 코드 void setup() { // 설정 코드를 여기에 두십시오. 한 번 실행하려면: } void loop() { // 기본 코드를 여기에 놓으십시오. 반복 실행: } void setup과 void l..
안녕하세요. 이번 시간에는 아두이노와 LED를 연결해보는 시간을 가지도록 하겠습니다. 오늘의 준비물 ※오늘의 따라 하기 중 주의사항! 아두이노 배선 작업은 반드시 아두이노의 전원을 차단 후 하시기 바랍니다! 브레드보드 간단 설명 파란 색칠된 네모에 -를 연결하면, 세로줄 전체가 -극이 됩니다. 붉게 칠 된 네모에 +를 연결하면, 세로줄 전체가 +극이 됩니다. 초록 칠 된 4칸에 +극을 연결 시, 그 4칸은 전체가 +극이 됩니다. Register(저항) 아두이노의 5V를 그대로 공급 시, LED가 전류를 버티지 못한다. 쉽게 풀어 저항을 연결하면 전압이 내려가게 돼서 LED에 적당한 전기를 공급해줄 수 있다. 그렇다면 왜 220R 저항을 준비물로 정한 것인가? 아두이노의 LED는 1.8v 20mA를 최소로..
안녕하세요. 오늘은 아두이노 UNO 보드를 PC에 연결하여 Arduino 프로그램에서 업로드해보기까지의 과정을 담았습니다. 준비물 - 아두이노 UNO - 아두이노 UNO USB 케이블 - PC or Notebook With Windows OS 순서 1. 아두이노 UNO를 USB 케이블과 연결합니다. 2. 아두이노 UNO 케이블 반대쪽을 PC의 USB 포트에 연결합니다. (글쓴이는 남는 포트가 없어 USB 허브에 연결했습니다.) 3. 아두이노가 문제 없이 인식했는지 확인하기. 키보드의 좌측 아래, [Ctrl]키 우측의 윈도우키 + R 을 동시에 누릅니다. [실행] 창이 나타나면, devmgmt.msc 를 입력 후 확인. 을 누릅니다. [장치 관리자] 창에서 [포트] 를 찾은 후, Arduino Uno 혹은..